1968년 주민등록증이 도입된 지 56년 만에 전국적으로 모바일주민등록증이 발급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025년 3월 14일부터 서울, 부산, 광주를 포함한 전국 주민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 적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의 실제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서 쉽게 발급하고 사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방법▪️
1. 주민센터 방문 발급 (3월 14일부터 가능)
현재 거주하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 신분증(기존 주민등록증) 지참 후 방문
• 신원 확인 및 생체인증 진행
• 스마트폰에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접촉하여 등록
• 발급 완료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가능
✅ 3월 28일부터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모든 주민센터에서 발급 가능하며, 온라인(정부 24)에서도 신청 가능하다.
2. 온라인 신청 (3월 28일부터 가능)
• 정부 24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접속
• 본인 인증 및 신원 확인 진행
•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후 등록
• IC칩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접촉하여 인증
• 발급 완료 후 사용 가능
💡 단, 온라인 신청 시에도 보안 강화를 위해 일정 단계에서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할 수 있음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의 활용 범위▪️
✔️ 공공기관: 정부 기관, 지자체 행정 서비스 이용 시
✔️ 금융기관: 은행 계좌 개설 및 금융 거래 시
✔️ 공항: 국내선 탑승 및 신원 확인
✔️ 병원: 의료 서비스 이용 시 본인 확인
✔️ 선거: 투표소에서 신분증 확인 용도로 활용
✔️ 기타: 각종 계약, 신분 확인이 필요한 모든 경우


▪️보안 및 안전성▪️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의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다양한 보안 기술을 적용했다.
▪️ 블록체인 및 암호화 기술 적용
▪️본인 명의 1개 스마트폰에만 발급 가능
▪️스마트폰 분실 시 즉시 잠금 기능 제공
▪️생체 인증 및 실물 주민등록증(IC칩) 인증 절차 적용
🔺️ 스마트폰을 분실한 경우, 통신사 연동을 통해 즉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잠글 수 있어 타인이 악용할 가능성을 차단했다.

정부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민간 플랫폼과의 연동도 추진하고 있다.
🔺️ 4월부터 ‘삼성월렛’에서도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가능
🔺️이후 네이버, 카카오 등에서도 서비스 제공 예정
이를 통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점차 일상 속에서 필수적인 디지털 신분증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의 의미
이번 전국 발급 확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에 이어 디지털 신분증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스마트폰 하나로 공공·금융·의료·교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국민들의 생활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창경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일상의 디지털화를 완성해 나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이제 필수 선택이 될 것
▪️스마트폰 하나로 신분증을 간편하게 관리
▪️ 주민센터 및 온라인에서 쉽게 발급 가능
▪️보안 강화로 안전한 디지털 신분증 제공
▪️삼성월렛, 네이버, 카카오 등 다양한 플랫폼 연동 예정
모바일 주민등록증발급 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스마트폰만 있으면 신분증 걱정 없이 간편하게 일상생활을 누려보세요!